1. 말씀묵상
사회 공동체는 모든 것이 연결되어 있습니다. 사람은 혼자 살 수 없고 관계 가운데 살아가고 그 관계는 또 다른 관계를 낳습니다. 그러므로 사회는 필연적으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그런데 반면 세상은 날이 갈수록 개인주의화, 개별화, 파편화 되고 있습니다. 젊은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에서 전통 시장과 대형마트 중 선호도를 조사한 적이 있습니다. 대다수 젊은이들은 대형마트를 선호한다고 대답했습니다. 대형마트를 선택한 분들에게 이유를 물었더니 대형마트에 가면 흥정을 위해서 대화할 필요도 없고 정가대로 계산하고 나오면 되기 때문이라고 대답했습니다. 이처럼 요즘 젊은이들은 대화하고 소통하는 것을 불편하게 생각합니다. 젊은이들이 이렇게 생각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는 강하게 연결되어 있고 우리는 혼자 살 수 없는 것이 현실입니다.
사회 공동체 가운데 하나의 축이 무너지면 그 사회 전체가 불안정하게 됩니다. 구성원들은 무너진 축을 떠받치고 공동체가 생존할 수 있도록 힘을 모아야 합니다. 타인의 행복이 곧 나의 행복이며 타인의 불행은 나의 불행임을 알아야 합니다. 교회도 마찬가지입니다. 교회는 개인이 모인 곳이지만 그리스도를 머리로 하는 성도의 공동체입니다. 교회는 이기적인 사람들이 생존할 수 없는 곳입니다. 그리스도를 머리로 모시는 성도들이 말씀 가운데 거하고 서로 돕고 소통할 때 교회다운 교회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오늘 말씀에서 바울은 고린도교회의 공동체성을 강조하고 있습니다. 고린도교회에는 여러 은사를 가진 사람들이 많았는데 크게 두 집단으로 나뉘어졌습니다. 예언하는 자들과 방언하는 자들이었습니다. 그들은 서로 첨예한 대립 관계에 있었습니다. 바울은 그들에게 분명한 방향을 제시합니다. 1절을 보십시오. “사랑을 추구하며 신령한 것들을 사모하되 특별히 예언을 하려고 하라” 지금까지 바울은 고린도교회 공동체에서 특정 집단을 편드는 발언을 한 적이 없습니다. 그런데 왜 특별히 예언하는 자들을 편드는 말씀을 하는 것일까요? 2절과 3절을 보십시오. “방언을 말하는 자는 사람에게 하지 아니하고 하나님께 하나니 이는 알아듣는 자가 없고 영으로 비밀을 말함이라 그러나 예언하는 자는 사람에게 말하여 덕을 세우며 권면하며 위로하는 것이요”
방언은 지극히 개인적인 것이지만 예언은 덕을 세우고 성도를 권면하고 위로하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덕을 세운다는 말씀의 뜻이 교회의 덕을 세우는 것이라고 정리해서 전합니다. 4절을 보십시오. “방언을 말하는 자는 자기의 덕을 세우고 예언하는 자는 교회의 덕을 세우나니” 방언은 지극히 개인적인 것입니다. 방언하는 사람들 대부분은 자신이 하는 방언 기도를 스스로도 알아들을 수 없습니다. 하나님과 영과 영으로 소통하는 기도가 방언이기 때문에 느낌은 있으나 구체적으로 어떤 말인지 정확하게 알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러므로 방언 기도는 자기의 덕을 세우고 예언은 공동체, 즉 교회의 덕을 세우는 것입니다.
그런데 여기서 우리가 아는 예언과 바울이 말하는 예언은 다르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예언이라고 하면 미래를 미리 알려 주는 것이라고 생각하기 쉬우나 바울은 구약적인 전통에서 예언을 이해합니다. 구약에서는 예언을 ‘나바’라고 하고 예언자를 ‘나비’라고 했습니다. 하나님의 말씀을 맡은 자들을 ‘나비’ 즉 ‘예언자’라고 불렀고 하나님의 말씀을 사람들에게 전하는 행위를 ‘나바’, 즉 ‘예언’이라고 한 것입니다. 이런 의미에서 바울은 고린도교회에서 하나님의 말씀을 맡아서 가르치는 자들을 예언하는 사람이라고 부른 것입니다. 바울과 아볼로 같이 사도들과 고린도교회를 성도들에게 말씀을 가르치는 사람들은 모두 예언자들이 되는 것입니다.
오늘 우리 교회 공동체에도 예언하는 사람들은 많이 있습니다. 말씀을 가르치는 목회자들, 교회학교 어린 생명들에게 말씀을 먹이는 자들, 소그룹 공동체를 맡아서 말씀을 가르치는 자들, 일대일 말씀 사역자들 모두 예언하는 사람들입니다. 이들은 모두 말씀을 맡아서 가르치면서 교회 공동체에 덕을 세우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믿음 어린 사람이 믿음 좋은 장로님을 찾아왔습니다. 그의 마음에 있는 짐을 그 분에게 털어 놓습니다. 장로님은 개인의 경험과 삶을 나누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의 말씀을 중심으로 마음이 상한 자를 위로합니다. 그 행위는 예언이며 교회 공동체에 덕을 세우는 것입니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오늘 우리는 모두 예언하는 자들이 되어야 합니다. 하나님의 말씀으로 성도를 먹이고 가르치고 위로하고 권면하는 자들이 많아질 때 교회는 더욱 풍성해질 것입니다.
그런데 바울은 방언을 무시하지 않았습니다. 방언이 교회의 덕을 세우는데 사용되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은 것이라고 말씀합니다. 13절을 보십시오. “그러므로 방언을 말하는 자는 통역하기를 기도할지니” 방언이 유익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방언이 의미하는 바를 알아야 되기 때문에 통역하기를 기도하라고 말씀합니다. 통역의 은사 역시 하나님이 주시는 것이므로 방언으로 그치지 말고 반드시 통역하기를 구하라 말씀합니다. 예언 사역에도 바울은 틀을 정해주고 있습니다. 31절과 32절을 보십시오. “너희는 다 모든 사람으로 배우게 하고 모든 사람으로 권면을 받게 하기 위하여 하나씩 하나씩 예언할 수 있느니라 예언하는 자들의 영은 예언하는 자들에게 제재를 받나니”
우리는 예언에 대하여 바울이 정한 두 가지 기준을 알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예언은 어떤 특정한 계층에 있는 사람의 전유물이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바울과 아볼로 같이 교회를 맡은 사도들에게만 주어진 특권이 아니라 모든 성도들이 누릴 수 있는 특권입니다. 성도들은 누구나 하나님의 말씀을 받았으므로 그 말씀을 다른 사람에게 먹이고 가르칠 수 있습니다. 오늘 우리 교회는 어떻습니까? 목회자들만 말씀을 가르치는 것으로 생각하지 않으십니까? 모든 성도들이 하나님의 말씀을 받아 예언하는 사역을 사모하시기 바랍니다. 성도들이 믿음이 어린 자들을 먹이고 가르칠 때 교회는 더욱 말씀으로 풍성한 공동체가 될 수 있습니다.
두 번째 바울이 제시하는 기준은, 예언하는 자들은 통제를 받아야 합니다. 제재를 받는다는 말은 영적인 권위에 의한 질서가 있어야 된다는 말씀입니다. 즉, 말씀 사역자들은 영적인 권위를 가진 자에 의해 충분히 훈련받고 통제를 받아야 교회가 문제가 생기지 않습니다. 각 성도들 모두가 말씀을 먹이고 가르치는 것은 유익하나 자기 마음대로 말씀을 가르치면 곤란하지 않겠습니까?
오늘 우리가 깨달아야 할 것은 교회에서 어떤 사역을 하든지 개인주의적으로 파편화되어서는 안 된다는 사실입니다. 교회의 덕을 세우고 교회 공동체를 이롭게 하는 것이 하나님의 뜻임을 명심해야 할 것입니다. 우리가 받은 달란트를 가지고 교회를 이롭게 하는 믿음의 백성들이 되시기 바랍니다. 나 혼자 사는 교회가 아니라 모든 사람이 함께 어울려서 동역하는 곳이 교회 공동체임을 기억하시는 하루되시기를 바랍니다.
2. 실천다짐
1) 말씀을 맡아서 가르치는 사역을 열심히 감당하겠습니다.
2) 어떤 일을 하든지 교회의 덕을 세우는 일에 최선을 다하겠습니다.
3. 한줄기도
사랑의 하나님, 교회 모든 성도들이 주님 사랑하는 자들이 되어 말씀을 맡아 영혼을 섬기는 성도들이 되게 하옵소서.
성경별
번호 | 제목 | 작성자 | 등록일 | 조회수 |
---|---|---|---|---|
16 | (고린도전서 16장) 문제 해결을 위하여 밖으로 | 정지훈 | 2021-04-30 | 630 |
15 | (고린도전서 15장) 확실한 부활 | 정지훈 | 2021-04-29 | 721 |
14 | (고린도전서 14장) 예언과 방언 | 정지훈 | 2021-04-28 | 722 |
13 | (고린도전서 13장) 해답은 사랑입니다 | 정지훈 | 2021-04-27 | 917 |
12 | (고린도전서 12장) 하나님은 같으니 | 정지훈 | 2021-04-26 | 839 |
11 | (고린도전서 11장) 성만찬 정신 | 정지훈 | 2021-04-23 | 783 |
10 | (고린도전서 10장) 어떤 사람들 | 정지훈 | 2021-04-22 | 815 |
9 | (고린도전서 9장) 복음이 본질입니다 | 정지훈 | 2021-04-21 | 1040 |
8 | (고린도전서 8장) 믿음이 어린 분들을 위하여 | 정지훈 | 2021-04-20 | 656 |
7 | (고린도전서 7장) 부르신 그대로 | 정지훈 | 2021-04-19 | 1015 |
6 | (고린도전서 6장) 분쟁 해결을 위하여 | 정지훈 | 2021-04-16 | 727 |
5 | (고린도전서 5장) 세속 문화와 교회 | 정지훈 | 2021-04-15 | 707 |
4 | (고린도전서 4장) 하나님께 충성하는 자 | 정지훈 | 2021-04-14 | 764 |
3 | (고린도전서 3장) 성숙한 성도 | 정지훈 | 2021-04-13 | 880 |
2 | (고린도전서 2장) 실패 후 성공 | 정지훈 | 2021-04-12 | 837 |
댓글